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113

학교장추천전형, 왜 중요할까? 부모님이 꼭 알아야 할 입시정보 1. 학교장추천전형, 쉽게 말해 ‘학교가 추천한 학생만 쓸 수 있는 전형’‘학교장추천전형’은 말 그대로 고등학교에서 학교장이 추천한 학생만 지원할 수 있는 대학 입시 전형이에요. 모든 학생이 자유롭게 지원할 수 있는 건 아니고, 학교가 “이 학생은 추천할만하다”라고 인정해야만 지원 자격이 생기는 특별한 전형입니다. 예전엔 일부 대학만 운영했지만, 요즘엔 서울 주요 대학 대부분이 운영하고 있어서 아주 중요해졌어요.2. 추천받으려면? 내신 성적, 학교생활 태도 모두 중요해요그렇다면 어떤 학생이 추천을 받을 수 있을까요? 대부분의 고등학교는 내신 성적이 우수하고, 학교생활기록부(생기부)가 잘 작성된 학생을 추천합니다. 하지만 단순히 성적만 좋은 것이 아니라, 봉사활동, 독서, 진로활동, 동아리 활동 등 학교생.. 2025. 5. 10.
진학 고민되는 중학생, 특성화고 선택 전에 꼭 생각해봐야 할 것들 1. 단순히 '성적'만 보고 판단하지 마세요많은 학부모님들이 "성적이 애매해서 일반고는 힘들 것 같고, 그럼 특성화고?"라는 고민을 하세요. 하지만 특성화고는 단순히 '대안'이 아니라 특정한 목적과 방향성이 있는 학교입니다. 단순히 일반고 성적이 낮다고 해서 무조건 특성화고를 선택하면, 아이가 적응하지 못하거나 후회하는 경우도 생깁니다. 아이의 진로 방향이나 흥미, 의지를 먼저 살펴보는 게 중요해요.2. 특성화고는 '다른 길'이지 '쉬운 길'이 아닙니다많은 분들이 “특성화고는 공부를 덜 해도 되는 학교”라고 생각하지만, 절대 그렇지 않습니다. 오히려 대학 진학을 목표로 한다면 상위권 성적, 자격증, 실습 경험까지 모두 갖춰야 유리하죠. 대학에서 특성화고 학생을 위한 특별전형을 운영하긴 하지만, 경쟁률도 .. 2025. 5. 10.
중학생 우리 아이 문과일까 이과 일까? 성향부터 찬찬히 살펴보세요! 1. 문과·이과 구분, 아직도 필요한가요?요즘은 ‘문이과 통합’이라는 말이 있지만, 실제로는 고등학교 선택 과목에 따라 대학 진학 방향이 나뉘기 때문에 여전히 문과냐 이과냐 고민은 꼭 필요합니다.중학생 자녀가 “나는 뭘 전공해야 할까?” “장래 희망이 뭔지 모르겠어”라고 말할 땐, 부모가 먼저 성향을 파악해보는 게 좋아요. 아이가 수학과 과학을 재밌어하고, 논리적으로 생각하는 걸 좋아하면 이과 성향일 수 있어요. 반대로 글을 읽고, 말하고 쓰는 걸 더 편하게 느낀다면 문과 성향일 수 있지요.2. 수학 이해력, 이과 성향의 중요한 열쇠문과·이과를 나누는 가장 뚜렷한 기준 중 하나는 **‘수학적 논리를 얼마나 쉽게 이해하느냐’**입니다. 같은 수학 문제를 배워도 이해하는 속도나 방식이 다를 수 있어요.이과 .. 2025. 5. 10.
기초가 부족한 우리 아이, 공부를 처음부터 다시 시작하려면? 1. 공부는 ‘집중 시간’부터 늘리는 게 시작이에요공부를 잘하는 아이들은 머리가 좋은 아이들이 아니에요. 공부에 집중하는 시간이 긴 아이들이에요. 그래서 기초가 부족하다고 느끼는 우리 아이가 제일 먼저 해야 할 일은 바로 ‘집중하는 시간’을 늘리는 것이에요. 처음엔 15분만 책상에 앉아서 책을 펴고, 스마트폰 없이 공부해 보세요. 그게 익숙해지면 30분, 45분으로 시간을 조금씩 늘려보는 거예요. 이건 모든 공부의 기초랍니다. 집중하는 힘이 생기면 공부가 덜 지루하게 느껴지고, 자신감도 생겨요.2. 수학은 초등학교 분수부터 다시 보는 게 좋아요수학을 포기한 아이들 대부분은 분수와 소수에서 막혀요. 초등학교 3학년 수학부터 다시 보는 것을 추천드려요. 너무 쉽다고 무시하지 말고, 실제로 문제를 풀어보면서 .. 2025. 5. 9.
반응형